본문 바로가기

★ 산행·여행·사진 ★/산행지도·안내

[스크랩] 축척에 따른 지도보는 방법

** 축척에 따른 지도보는 방법 ** 

 

1).쉽고도 어려운것이 독도법입니다

 

산행의독도법은 군대와같이 정확히 알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회원님들이나 저나 등산지도를보면 어디가 능선이고 어디가 계곡이고 산높이 산행시간이 어느정도 걸리는지알면 되겠지요 이정도 알면 독도법 다아는것이네요 정기산행시 등반대장이주는 지도를보고 오늘의 산행을 생각 할 정도만 간단하게 배우자구요 이해가 잘안되시면 몇번이고 읽어보시면 이해 가능

 

2).등산지도의필요성

 

등산코스를 오를때 알려진 코스로만 갈수도있지만 때로는 알려지지않은코스나 깊은골짜기로 들어갔을때 어떻게 오를것인가 생각해보십시요 만약 지도 한장이있다면 산을쉽게 오르고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등반시 갑자기 눈이내리것나 길을잘못찾게될때 또한 생각지도 않았던 골짜기로 들어갔을때 지도는 자기위치를 알려주며 산의위험해서 신속히 자기위치를 알고 위험해서 피하게 해준다 독도법의 기본을 이해하고나면 나침반이 없어도 크게 불편할것이 없다

 

3).등산지도의종류

 

1.개념도 : 능선과 계곡만 표시한지도

2.지형도 : 등고선이 표시된지도

4).지도의방위 : 지도를 정면으로 보고있을때 항상 지도위가 북쪽이며 우측은 동쪽 좌측은 서쪽 밑이 

                      쪽   입니다

                      모든지도는 항상 위가 북쪽 이것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

5).축척 : 5번항을 잘이해하면 독도법 50%는 터득한것입니다 그만큼 축척이 중요하며 거리,시간이 다

             나옵니다

             내가걷고있는 등산의 지도가 몇분의 1 로축소 되었는지 확인한다 지도의 좌측상단이나

             우측하단에  표시 되어있다

1.예를 들어 1:50000의 지도란 실제지형의 거리가 50,000cm(500m)가 지도상의 수평거리를 1cm로

    표시한다

    수평거리가 2cm이면 1,000m이고 이것은 1km로 표시한다

2. 1:25,000의 지도는 실제지형의 거리가 25,000cm(250m)가 지도상의 수평거리를 1cm로 표시한다

    수평거리가 2cm이면 50,000cm(500m)를 표시한다

3.그러나 우리가 걸어야할 등산코스는 구불구불한 곡선의 등산로 되어있다 이것을 직선으로

   표시하면 되등산시에는 이렇게 할수없으니 간단하게 실제거리의 33% 정도 더하면 보행거리라고

   생각하면된다

4. 예를들어 지도상의 직선거리가 1km이면 330m를 더한 1.33km(1,330m)가 등산거리이다

5. 또한 등산시간은 능선,계곡,비탈길이 다르기때문에 산행시 나의 보행시간을 알아두면 보행시간이

    나옵니다

6. 예를 들어 내가걷는 보행거리의 500m-1,000m(1km)의 능선길,계곡길,비탈길 시간을 알아두면

    1cm당 등산 시간이 나오겠지요(등산시 코스의 어려움에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차이가많이나는

    것은 아닙니다)  

7.축척에 따른 수평거리와 보행시의 실제거리

    축 척 지도상의거리 수평시실제거리 보행시의실제거리

    1:25,000 4cm 1,000m(1km) 1,330m

    1:50,000 2cm 1,000m 1,330m(1.33km)

    1:100,000 1cm 1,000m 1,330m

6). 등고선 : 지도의생명은 등고선이다 등산학교 교육시 선생이 알려준 말입니다 등고선까지 알면

     독도법의 70% 습득한것입니다 남은것은 실버나침반을 배우는 방법이 남아있지만 이것까지는

     배우지 않아도 됩니다 지형도에는 고도및 기북(산세가높았다낮았다)을 표시하기위해 등고선을

     이용한다 평균해수 기준면을 0m로하는 해발로부터 수직거리를 나타낸다

 

     등고선은 높이가 일정한 지점을 연결한 선으로 각각의 선은 높이를 나타내며 전체적인 지형을

     표시한다 이러한 등고선을 몇가지의 종류가있는데 축척에따라 표기방법이 다르게 되어있다

 

1. 등고선의종류 : 계곡선,주곡선,간곡선,조곡선으로표시

    계곡선 : 고도 0 에서 시작하며 5번째마다 굵은선으로 표시 1/50000 지도에서는 계곡선길이는

                 100m

    주곡선 : 계곡선을 5등분으로 나눈선으로 선의굵기는 계곡선보다 가는선 1/50000 지도에서는

                20m

     구 분 1/5000 1/25000 1/50000 1/250000

     계곡선 25m 50m 100m 500m

     주곡선 5m 10m 20m 100m

     간곡선 2.5m 5m 10m

     조곡선 1.25m 2.5m 5m 이다.    이중 많이사용하는 선은 계곡선과 주곡선을사용

 

2.등고선의특징

   가.등고선을 볼때는 먼저 0 찾는다 0 은 봉우리를 표시한다

   나.등고선은 지표면을 수평으로 자른단면의 테이기 때문에 반드시 폐곡선이다 다시말하면 등고선은

       지도상을 돌고돌아 원점으로 다시돌아온다

   다.하나의 등고선은 반드시 일그러진 형태의 원으로 연결되고 산정상맨위부분은 작은원으로 표시된다

       원이 작으면 뽀족한 봉우리이고 원이크것나 타원형이면 완만한 정상이다 봉우리에 해당하는 원을

       중심으로 원을향해 등고선이 오목하게 들어가면 계곡이고 블록하게 불거지면 능선이다

   라.등고선 간격이 좁으면 경사가 급하고 넓으면 경사가 완만하다

   마.능선이나 분수령의 등고선은 높은곳에 낮은곳으로볼록하게뻗어나간 V.U,))) 모양이다

   바.하천과 계곡의 등고선은 낮은곳에서 높은곳으로 볼록하게 파고들어간 ∧,∩,((( 모양이다

   사.서로 마주보는 등고선은 ))),((( 사이는 안부이다

 

3.등고선 간격으로 산높이를 알기

    지도를보면 가늘한 선이있고 굵은선이있다 가늘한선은 주곡선 굵은선은 계곡선이다

    /50,000의 지도상에서 계곡선과 계곡선사이는 100m이다

     계곡선사이의주곡선은 5개이다 주곡선과 주곡선의 거리는 20m이다

     예  : 계곡선이 5개있으면 500m이고 주곡선이 3개있으면 60m이다 산의 높이는 해발 560m이다

 

     1/25,000의 지도상에는 계곡선과 계곡선사이는 50m이고 주곡선과주곡선사이는 10m이다

     예 : 계곡선이 5개있으면 250m이고 주곡선이 3개있으면 30m이다 산의높이는 280m이다

 

4.계곡의 지류와물은 푸른선으로 표시되어있고 계곡의넓이에따라 지류선 굵기도 달라진다

   * 등산시 길을 일었을때는 물이흐르는 계곡을따라 내려오면 2시간이내에 민가에 도착할수있으며

     늦어도 5시간이내에 도착할수있습니다

   * 밤등산시 길을일었을때는 당황하지마시고 그자리 가까운데서 낙엽을 모으것나 바위밑에서 야영을

     하고 다음날 해가뜨면 행동을 하십시요

   등산도중 길을 일을때는 산악회나 단체에서달아놓은 표말이나 부착물을 확인하십시요 부착물이

     붙어있는 곳은 등산코스입니다

   * 공부하기

      1/50000의 지도상에 계곡선이 6개 주곡선이 4개 있다면 산의높이는

      계곡선 100mx6=600m 주곡선 20mx4=80m 해발 680m

      1/25000의 지도상에 계곡선이 9개 주곡선이 2개 있다면 산의높이는

      계곡선 50mx9=450m 주곡선 10mx2=20m 해발470m

 

 

(kwlee  : 20110316  - 인터넷 정보 수집 및 정리)

출처 : 심텍산울림
글쓴이 : 큰바위사랑(이근욱) 원글보기
메모 :

kwlee